▶하노이에서 5G 메이저사이트의 속도를 테스트중
시장조사기관(Market Research Institute, GFK)의 보고서에 따르면, 평균적으로 베트남 시장은 매년 2천만 대 이상의 전화기를 소비하고 있으며, 이 중 약 60%는 스마트폰이며 40%(800만대)는 피처폰(브릭폰)이다.
이에 따라 Circular 43이 시행되면 이동통신망에서 2G, 3G만 지원하는 피처폰의 개수에 영향을 미쳐 4G, 5G 메이저사이트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커진다.
2G/3G만 지원하는 기기를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가입자 수가 2천560만 명에 달함에 따라 기기의 수명(평균 약 3년) 동안 이 기기 수는 단계적으로 폐지될 것이다.
이와 함께 정보통신부는 적절한 로드맵을 통해 이르면 2022년 구형 지상파 모바일 기술(2G, 3G)을 중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. 정부는 이동통신사업자와 이동통신망 구축 주파수 허가가 만료되는 2024년 9월까지 2G/3G 기술에 사용되는 무선주파수 사용허가를 갱신하지 않기로 했다. 이에 따라 기술, 장비, 방송용 노후기술의 전환과 중단이 동시에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.
현재 하노이와 호찌민에서 일부 지역 및 기업에서도 5G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, 박닌, 박장, 빈푹, 투아티엔후에, 다낭도 포함된다.
이와 동시에,빈곤층가구를 위한 메이저사이트 지원 정책은 정부에 제출될 2021~2025년 공공 효용 전기 통신 프로그램의 초안에 포함되었다. 이에 따라 이 프로그램은 전국 빈곤층을 위한 210만 대의 메이저사이트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.